국토해양부(장관 : 권도엽)는 전국 항만의 7월 컨테이너 물동량(추정)이 지난해 같은 달(1,899천TEU)에 비해 0.4%(7월까지 누계 5.4%) 증가한 1,906천TEU*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. * 수출입화물 1,154천(1.1%↓), 환적화물 729천(4.7%↑), 연안화물 24천TEU(34.6%↓)
< 7월중(‘07~'12)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> (단위 : 천TEU, %) 구 분 | ‘07. 7 | ‘08. 7 | ‘09. 7 | ‘10. 7 | ‘11. 7 | ‘12. 7(추정) | 합계 | 1.523 | 1,586 | 1,390 | 1,671 | 1,899 | 1,906 | 전년 동월대비 증가율 | 15.5 | 4.2 | △12.4 | 20.3 | 13.6 | 0.4 |
수출입화물(1,154천TEU)은 세계경제 위축, 내수부진 등으로 국내 경기 전망의 '상저하저'(上低下低)‘ 우려가 가시화 되는 가운데, 전년 동월(1,167천TEU) 대비 소폭 감소(13천TEU↓, 1.1%↓)할 것으로 예상된다.
특히 환적화물(729천TEU)은 글로벌 경기침체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어 지난 해 최대 실적을 기록한 7월(696천TEU) 대비 4.7%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으며,
- ‘12.3월 역대 처음으로 월간 환적화물 처리실적이 70만TEU를 넘어선 가운데, 4개월 연속 월 70만TEU를 달성 중에 있다.
<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(7월) > (단위 : 천TEU, %) 구 분 | '10. 7월 | '11. 7월 | '11 .1~ 7월 | 최근 3개월 | ‘12 .1~ 7월 (추정) | '12.5월 | '12.6월 | '12.7월 (추정) | 총 물 동 량 | 1,671 | 1,899 | 12,445 | 2,017 | 1,861 | 1,906 | 13,119 | 전년동기 대비 | 20.3 | 13.6 | 11.4 | 8.1 | 4.2 | 0.4 | 5.4 | | 수출입 | 1,062 | 1,167 | 7,809 | 1,201 | 1,135 | 1,154 | 7,913 | | 환 적 | 579 | 696 | 4,368 | 786 | 702 | 729 | 4,966 | | 연 안 | 30.6 | 36.0 | 268.7 | 29.6 | 23.0 | 23.6 | 239.0 |
전국 “컨”물동량의 75% 이상을 차지하는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.6% 증가한 1,464천TEU를, 환적화물*은 702천TEU(5.0%↑)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.
* 부산항 환적 물동량은 월간 최대실적을 기록한 ‘11.7월 대비 낮은 증가율(5.0%)을 기록하였지만 ‘11년 월 평균(613천TEU)대비 14.5% 증가한 수준임
글로벌 경기침체 및 부산항을 거쳐 미주․구주로 수출입되던 북중국항만의 환적대상 물량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부산항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추정된다.
광양항은 중국(13.6%↑) 등 아시아 주요지역 물동량은 증가한 반면, 주요 교역국인 러시아(8.1천→3.5천TEU)와 미국(27천→26천TEU)의 수출입물량 감소 및 M사의 부산항 환적 집중(18천→7천TEU) 등에 따라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.8% 감소한 173천TEU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.
한편, 인천항은 처리비중의 약 60%를 차지하는 중국(5.6%↓) 등의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6.4% 감소한 160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예상되며,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등의 영향으로 7월까지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보다 소폭 감소(‘12.1~7월, △1.5%)할 것으로 전망된다.
<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(7월) > (단위 : 천TEU, %) 구 분 | '10. 7월 | '11. 7월 | '11.1~7월 | 최근 3개월 | '12.1~7월 (추정) | '12. 5월 | '12. 6월 | '12. 7월 (추정) | 부산항 | 1,236 | 1,441 | 9,312 | 1,543 | 1,421 | 1,464(1.6) | 9,997 (7.4) | 광양항 | 179 | 175 | 1,237 | 191 | 166 | 173(△0.8) | 1,233 (△0.3) | 인천항 | 157 | 171 | 1,141 | 172 | 166 | 160(△6.4) | 1,119 (△1.9) |
국토해양부 관계자는 하반기 국내․외 경제동향 등을 고려할 때, 과거와 같은 물동량 증가를 기대하기는 다소 힘들다고 전망하며,
“중국 등 주변 항만 동향, 해운․항만 여건변화를 지속 점검하고,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,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한 물량 창출 등 항만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.”고 밝혔다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