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도권 서남부지역과 충청권을 바로 잇는 평택∼시흥 제2 서해안 민자고속도로가 지난 3월 28일 개통된 이후
6월 15일 기준 하루 평균교통량이 5만 5천 대로, 3개월도 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안정적인 운영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.
<평택∼시흥 민자고속도로 週別 평균교통량>
(단위: 천대)
구분 |
3월 |
4월 |
5월 |
6월 |
5주 |
1주 |
2주 |
3주 |
4주 |
1주 |
2주 |
3주 |
4주 |
5주 |
1주 |
2주 |
일평균
교통량 |
41 |
43 |
46 |
47 |
49 |
51 |
52 |
53 |
52 |
50 |
53 |
55 |
<출처: 제이서해안고속도로(주)>
국토교통부(장관 서승환)는 그동안 평택∼시흥 고속도로를 운영한 결과, 기존 서해안고속도로의 같은 구간을 이용할 때 보다 주행거리가 3.8km 짧고, 주행시간이 평균 15분 정도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나
연간 약 1,500억 원의 물류비를 절감하고,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17,400톤 줄어 소나무 140만 그루의 식재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.
아울러, 평택∼시흥 민자고속도로 개통으로 그동안 주말과 출퇴근 시간대에 상습적으로 교통 지·정체가 발생한 서해안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등 연계 고속도로의 교통흐름이 크게 개선되어 대체도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서해안고속도로는 교통량이 주말에는 11.9%, 평일에는 24.5% 줄고, 영동고속도로는 주말에는 17.2%, 평일에는 17.6% 교통량이 감소되었다.
<연계 고속도로 교통량 변화, ‘13.3.29.~5.31. 24시간 평균>
도로명 |
구 분 |
평일 |
주말 |
개통 전 |
개통 후 |
개통 전 |
개통 후 |
서해안고속도로
(서서울TG~서평택JCT) |
교 통 량
(천대) |
117 |
88
(24.5% 감소) |
113 |
100
(11.9% 감소) |
주행시간
(분) |
33 |
29
(4분 감소) |
36 |
30
(6분 감소) |
영동고속도로
(월곶JCT~안산JCT) |
교 통 량
(천대) |
139 |
115
(17.6% 감소) |
122 |
101
(17.2% 감소) |
주행시간
(분) |
8 |
6
(2분 감소) |
9 |
6
(3분 감소) |
<출처 : 한국도로공사)>
특히, 평택~시흥 고속도로 이용차량 중 수도권 서남부지역의 시화공단, 반월공단과 인천 남동공단 등으로 유·출입하는 대형화물차량의 구성 비율이 20% 수준으로 일반고속도로의 2배 이상 높아
- 기존 서해안고속도로와 더불어 서해안 지역의 교통·물류 운송의 대동맥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평택~시흥 민자고속도로가 정부의 최소운영수입보장(MRG)이 없는 최초의 민자고속도로이고, 통행료도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공영 고속도로와 비슷한 1.1배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어
교통량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, 계획교통량(6만 5천 대/일)의 85% 수준(5만 5천 대)인 교통량이 100%에 도달할 날도 멀지 않은 것으로 내다봤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