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토해양부(장관 정종환)는 2월 화물수송량이 `09년 9월 이후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감소(3.1%)한 26만톤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.
국제선에서는 주요 항공 수송품인 평판디스플레이의 수출량 감소와 설 연휴로 인한 조업감소로 전년 대비 2.3% 감소한 24만톤을 수송하였고,
국내선에서는 제주노선 화물의 해송 전환으로 전년대비 10.9% 감소한 2만톤을 수송하였다.
국제화물의 경우 인천공항에서 전년대비 3.1% 감소한 23만톤을 처리하였고,김해공항은12.8%증가한0.50만톤,김포공항은 29.9% 증가한 0.49만톤을 처리하였다.
인천공항은 운항횟수가 증가한 중동노선과 수화물이 증가(+2,328톤)한 동남아 노선을 제외한 전 노선에서 화물량이 감소하였으며, 특히, 중국지역은 춘절연휴로 인하여 화물량이 7.8%나 감소하였다.
* 이스라엘(24→40편), UAE(88-→153편) 등 중동노선 운항횟수 증가
(단위 : 톤)
구 분 |
일본 |
중국 |
동남아 |
미주 |
유럽 |
대양주 |
기타 |
‘10년 2월 |
31,220 |
44,226 |
60,968 |
53,407 |
41,411 |
4,416 |
2,628 |
‘11년 2월 |
29,183 |
40,759 |
63,552 |
49,872 |
39,563 |
4,109 |
3,843 |
전년대비 |
△6.5% |
△7.8% |
4.2% |
△6.6% |
△4.5% |
△7% |
46.2% |
* 홍콩, 마카오 등은 동남아지역에 포함되고 중동지역은 기타지역에 포함
- 인천공항의 수출입화물을 보면 수출화물은 전년대비 12.9% 감소한 7.4만톤을 수송하였으나, 수입화물은 3.7% 증가한 7.1만톤, 환적화물은 1.3% 증가한 8.5만톤을 수송하였다.
김해공항은 여행객 수하물(+592톤) 증가로 화물량이 증가하였고, 김포공항은 하네다 노선의 화물(+820톤) 증가 등으로 화물량이 증가하였다.
국내화물의 경우 내륙노선에서는 김해노선의 화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5.6% 증가한 총 0.29만톤을 수송하였으나, 제주노선에서는 13.2% 감소한 1.8만톤을 수송하였다.
국토부는 3월 수송량이 분기 말 재고 밀어내기 효과로 2월 보다는 증가하겠지만, 최근 중동사태로 유가가 급등하고 있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년(32만톤)에 비해서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.
|